Post

[프로젝트 일지 #3-3] 통합 vs 분리

[프로젝트 일지 #3-3] 통합 vs 분리

🎯 배경

이제 3번째 챕터의 마지막이다. 생각을 해보면 백엔드와 프론트는 같은 프로젝트에 있어야 하나 분리를 해야 하나 고민을 하지 않는다. 당연하다는듯이 따로 만든다. 과연이게 정답일까? 잘 모르겠다.

분리시

일단 분리 하게 되면 프론트 포트와 백 포트의 충돌을 어느정도 감수를 해야 한다. 이때 발생하는 이슈가 CORS다.이 이슈에 대해 설명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간략하게 말하면, 같은 URL로 접근을 하는데 포트가 다를때 발생하는 이슈다. 이걸 다시말하면 바라보고 있는곳이 같은데 환경자체가 다른 느낌이다. 근데 같은곳을 바라보니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통합을 하는것이 좋을까?

통합시

통합을 하게 되면 CORS문제는 터지지 않는다. 하지만 문제는 GIT에서 충돌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진다. 이럴수밖에 없는게 코드가 같은 프로젝트안에서 수정을 하기때문에 의도치않는 GIT 충돌이 발생하게 되어질 수 밖에 없어진다. 수 많은 규칙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도 있겠지만 사소한 문제들까지 규칙으로 정하면서 코드를 작성하는 행위는 우리를 지치게 만들거 같다.

그래서 어떻게 할건데..??

정리를 하면 통합시 - 개인으로 제작시 유리 -> GIT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분리시 - 팀으로 제작시 유리 -> 각자 개발환경을 구축하여 확장할 수 있음

초반에는 개인으로 제작시 통합으로 개발하는것이 속도 측면에서는 유리하겠지만 후반에는 통합으로 개발시 확장성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든다.

결국, 여건이 된다면, 프론트와 백엔드는 분리를 해서 개발하는것이 좋을거같다. 이와 비슷한 내용으로 MSA vs 모놀로식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MSA를 심도깊게 학습을 해야 되서 추후에 작성될 예정이다.)

이번장은 거의 생각만 작성해서 쉬어가는 코너로 작성하였다.

다음에 진행할일

이제 다음장으로 다이어그램에 대해 학습이 진행될 예정이다.

change 원래 다이어그램을 작성하려고 했지만 생각보다 오래걸릴거 같아 다른 것을 작성하는것이 맞을거 같다. 이러다가는 이 프로젝트는 영원히 못할거 같아.. 다이어그램은 따로 빼서 진행이 될거 같다. 도커를 진행해보자.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